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민연금 압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우리나라의 4대 의무보험을 납부하고 그에 따른 혜택을 받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혜택을 보고 사람이 아니라면 보험료를 납부함에 있어서 부담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혜택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기초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는 나라의 복지 혜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대 보험 정책은 국민의 기초적인 생활을 국가에서 보장해주기 위한 복지 정책인데 가끔 의도치 않은 보험료 미납으로 인한 급여 통장 및 기타 금융 활동의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통보문을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동산에 대하여 가압류를 가하기도 하여 불쾌감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개정된 국민연금법에서는 통장을 압류할 수 없도록 개정되었으며 지금 연금을 받고 있는 수혜자의 경우도 사정에 의해 재산 압류를 당하여도 150만원 미만의 연금 수령액은 압류를 금지하도록 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압류를 못하여도 통장 자체의 계좌를 압류를 할 수 있습니다. 압류된 통장은 입금은 가능하지만 출금이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압류로 출금을 못할 경우 압류명령취소신청 또는 압류명령범위변경신청으로 통해 압류대상 금액에서 제외 시킬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압류절차를 통해서 연금액을 돌려받으려면 법원의 명령을 받아야 하고 연금이 들어오는 수취계좌를 다시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은 안 일어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지만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국민연금 안심 통장 제도를 법제화하였는데요. 국민연금 안심 통장은 전국 22개의 금융사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계좌는 압류가 되지 않지만 150만원 미만으로만 보호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국민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악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마련한 법 조항입니다.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이 국민연금 수급을 원활하게 수급 받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국민연금 압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세민 조건

영세민은 수입이 적어 생계가 어려운 사람을 뜻하며 이를 보호 하기 위해 정부는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를 지정하여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영세민 조건을 붙여 놓는데,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재산(자동차,개인 소유집 포함)이 3.300만원 이하, 월소득 1인세대는 368.000원 이하, 2인세대는 609.842이하, 3인 세대는 838.796원 이하, 4인 세대는 1.055.090원 이하가 최우선 조건입니다. 위 영세민 조건을 기본으로 해마다 1~2회 정도 금융거래를 조회하며, 이때 타인이나 부모, 형제 등이 수급 대상자의 계좌로 입금 사실이 있을 경우 자격이 상실되게 됩니다. 하지만 배우자, 부, 모, 자식, 며느리, 사위 등의 생계를 같이 하는 2촌 이내의 혈족이 부양 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영세민 자격이 유지 되며 이후 이들이 부양능력이 되거나 회복한 경우에는 영세민 자격이 상실 되게 됩니다. 이상으로 영세민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네 물렸을때

지네는 지저분하고 습한 곳을 좋아하다 보니 화장실에나 주방에서 종종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지네에게 물리게 되면 지네의 독성 때문에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이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네 물렸을때 가려운 증상과 부어오름 증상 외에 다른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빨리 병원을 방문하시는 게 좋습니다. 지네에 물렸을때는 물린 부분을 흐르는 깨끗한 물로 씻어주거나 벌레에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린 부분이 부어오른다면 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찜질은 온찜질을 해야 한다, 냉찜질을 해야 한다 하는 의견이 분분한데요. 지네의 독성은 열에 약한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네에 물린 직후라면 40도 이상의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고 그 이후에는 냉찜질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촛농 지우는법

오늘은 초를 사용하다가 실수로 초를 넘어 뜨려 촛농이 옷이나 바닥에 묻었을때 촛농 지우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드라이기 드라이기의 따뜻한 바람으로 촛농을 녹여 준 다음 키친타월을 이용해 닦아내면 촛농을 지울 수 있습니다. 2. 식용유 바닥에 떨어진 촛농 지우는법은 식용유를 묻힌 다음 살살 문질러 주면 깨끗하게 떨어집니다. 3. 얼음 촛농이 옷에 묻은 경우에는 뜨거운 열을 가해도 되지만 얼음을 이용해 촛농을 얼려주면 촛농을 쉽게 제거 할수 있습니다. 4. 스크래퍼 코팅이 된 가전제품이나 가구에 촛농이 떨어졌을때는 스크래퍼를 이용해 긁어내면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다리미 촛농이 옷에 묻었을 경우에는 그 부위에 깨끗한 천이나 수건을 깔고 다리미의 열을 이용해 촛농을 녹여 준 후 키친타월로 닦아내면 됩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다리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촛농에 다리미를 바로 대면 안되고 꼭 천이나 수건을 깔으셔야 됩니다) 이상으로 촛농 지우는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