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브레이크 오일 교체주기

브레이크 오일이란 말 그대로 브레이크와 관련이 있습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 오일에 압력이 형성되고 이 압력을 이용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는 원리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브레이크 오일을 오염된 상태로 방치할 경우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브레이크 오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오래될수록 수분 함량이 많이 높아지게 됩니다.



수분 함량이 높아지게 되면 과열로 인해 브레이크 오일이 끓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한 기포 때문에 브레이크가 제동력을 잃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브레이크 오일 교체주기 30,000~40,000km 주행 후 교체하는 것이 좋은데요. 그렇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한 번씩 브레이크 오일의 오염 상태를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이크 오일은 노란색을 띄지만 오염되면 붉은색을 띄므로 브레이크 오일이 붉은색이 되면 주행거리와 상관없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세민 조건

영세민은 수입이 적어 생계가 어려운 사람을 뜻하며 이를 보호 하기 위해 정부는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를 지정하여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영세민 조건을 붙여 놓는데,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재산(자동차,개인 소유집 포함)이 3.300만원 이하, 월소득 1인세대는 368.000원 이하, 2인세대는 609.842이하, 3인 세대는 838.796원 이하, 4인 세대는 1.055.090원 이하가 최우선 조건입니다. 위 영세민 조건을 기본으로 해마다 1~2회 정도 금융거래를 조회하며, 이때 타인이나 부모, 형제 등이 수급 대상자의 계좌로 입금 사실이 있을 경우 자격이 상실되게 됩니다. 하지만 배우자, 부, 모, 자식, 며느리, 사위 등의 생계를 같이 하는 2촌 이내의 혈족이 부양 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영세민 자격이 유지 되며 이후 이들이 부양능력이 되거나 회복한 경우에는 영세민 자격이 상실 되게 됩니다. 이상으로 영세민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네 물렸을때

지네는 지저분하고 습한 곳을 좋아하다 보니 화장실에나 주방에서 종종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지네에게 물리게 되면 지네의 독성 때문에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이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네 물렸을때 가려운 증상과 부어오름 증상 외에 다른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빨리 병원을 방문하시는 게 좋습니다. 지네에 물렸을때는 물린 부분을 흐르는 깨끗한 물로 씻어주거나 벌레에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린 부분이 부어오른다면 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찜질은 온찜질을 해야 한다, 냉찜질을 해야 한다 하는 의견이 분분한데요. 지네의 독성은 열에 약한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네에 물린 직후라면 40도 이상의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고 그 이후에는 냉찜질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촛농 지우는법

오늘은 초를 사용하다가 실수로 초를 넘어 뜨려 촛농이 옷이나 바닥에 묻었을때 촛농 지우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드라이기 드라이기의 따뜻한 바람으로 촛농을 녹여 준 다음 키친타월을 이용해 닦아내면 촛농을 지울 수 있습니다. 2. 식용유 바닥에 떨어진 촛농 지우는법은 식용유를 묻힌 다음 살살 문질러 주면 깨끗하게 떨어집니다. 3. 얼음 촛농이 옷에 묻은 경우에는 뜨거운 열을 가해도 되지만 얼음을 이용해 촛농을 얼려주면 촛농을 쉽게 제거 할수 있습니다. 4. 스크래퍼 코팅이 된 가전제품이나 가구에 촛농이 떨어졌을때는 스크래퍼를 이용해 긁어내면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다리미 촛농이 옷에 묻었을 경우에는 그 부위에 깨끗한 천이나 수건을 깔고 다리미의 열을 이용해 촛농을 녹여 준 후 키친타월로 닦아내면 됩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다리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촛농에 다리미를 바로 대면 안되고 꼭 천이나 수건을 깔으셔야 됩니다) 이상으로 촛농 지우는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